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주 요 테 마
강세 테마 유리 기판, 반도체 대표주(생산), 스마트카(SMART CAR), 페라이트, 무선충전기술,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PCB(FPCB 등), 맥신(MXene), 자율주행차,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온디바이스 AI, 시스템반도체,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3D 프린터, 건설 대표주, 마이크로 LED,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홈쇼핑, 아이폰,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자동차 대표주, 3D 낸드(NAND), 반도체 재료/부품, 카메라모듈/부품 등...
약세 테마 피팅(관이음쇠)/밸브, 남-북-러 가스관사업, 강관업체(Steel pipe), LPG(액화석유가스), 셰일가스(Shale Gas), 윤활유, 일자리(취업),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도시가스,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자원개발, 전력설비, 종합상사, 애플페이, 전선, 인터넷 대표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비만치료제,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코로나19(진단키트), 철강 중소형, 국내 상장 중국기업, 원자력발전,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




특징 테마 이 슈 요 약
유리 기판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진출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반도체 유리기판 상용화를 위해 복수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사들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삼성 반도체 사업부문(DS) 내 첨단 패키징 관련 인력을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삼성전자만의 독자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임. 특히,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사업 추진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유리기판 개발 사업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국내 소수 기업들이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유리기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자체적인 공급망을 물색 중"이라며, "이미 기술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램테크놀러지, 한빛레이저, 필옵틱스, 와이씨켐, 켐트로닉스, 씨앤지하이테크, 기가비스, SKC 등 유리 기판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현대로템, 지난해 방산 부문 실적 호조 영향 등에 상승
▷현대로템, 전일 지난해 및 4분기 실적 발표, 24년 연결기준 매출액 4.37조원(전년대비 +21.99%), 영업이익 4,565.65억원(전년대비 +117.36%), 순이익 4,052.59억원(전년대비 +158.49%). 24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44조원(전년동기대비 +45.65%), 영업이익 1,616.87억원(전년동기대비 +131.70%), 순이익 1,450.15억원(전년동기대비 +213.98%).

▷증권가에선 현대로템의 실적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며,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고 있음. 언론에 따르면, JP모건은 현대로템에 대해 환율 영향과 비용 절감 노력으로 40% 이상의 방산 수출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고 평가하면서 목표주가를 7만1,000원에서 10만원으로 상향 조정. 하나증권은 현대로템에 대해 보수적인 접근에도 올해 영업이익 1조원 돌파할 것으로 전망.

▷BNK투자증권도 폴란드 K2 전차 2차 이행계약이 몇 차례 순연됐지만, 마무리 단계로 알려졌다며, 공개가 어려운 일부 중동 국가, 한국 4차 물량 등을 고려할 때 수치 이상의 긍정적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힘. 한화투자증권은 폴란드 K2 전차 2차 이행계약과 연내 루마니아 추가 수주시 모멘텀(주가 상승 동력)이 여전히 유효하다며, 이 납품 건들의 실적 인식 시점에 따라 올해 하반기 이후 이익률 측면에서 충분히 상향 조정될 수 있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 속 현대로템을 비롯해 엠앤씨솔루션, SNT다이내믹스, 카티스, 한화시스템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한국수력원자력, 슬로베니아 원전 수주 포기 소식 속 하락
▷전일 언론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이 스웨덴에 이어 슬로베니아 신규 원전 건설 사업 수주전에도 발을 빼기로 결정했다고 전해짐. 슬로베니아 크르슈코 원전 신규 건설 사업 발주사인 슬로베니아 전력회사 젠에너지는 최근 JEK2 사업 타당성 조사에 한수원이 불참한다고 통보했다고 밝힘. JEK2는 현재 가동 중인 크르슈코 원전 인근에 최대 2,400메가와트(㎿) 규모 대형 원전을 추가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체코 원전 수주 규모가 1,000㎿당 2,000억 코루나(약 12조 원)이었음을 고려해 단순 추산하면 최대 약 29조원대 규모의 수주전에서 손을 뗀 셈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한수원 관계자는 "체코 원전 및 SMR 사업 등을 고려한 경영 판단에 따라 사업 불참을 결정했다"고 언급.

▷한편, 한수원은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 고 설명했지만 신규 원전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럽 원전 시장을 美 원전 기업 웨스팅하우스에 내주고 사실상 철수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일진파워, 성광벤드, 태광, 수산인더스트리, 두산에너빌리티, 한전KPS, 한신기계, 한국전력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하락.
동해 석유·가스전(대왕고래) 관련주 대왕고래 1차 시추 결과 실망감 등에 하락
▷전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2월20일 시작한 대왕고래 시추 작업이 지난 2월4일 종료됐다고 밝힘. 정부는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 결과에 대해 브리핑하며 가스 징후가 일부 있었음은 확인했지만,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라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 고위관계자는 "대왕고래 1차 시추과정에서 (탄화)가스 징후가 발견됐다"면서도 "가스포화도 측면에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고 밝힘.

▷산업 부가 예고했던 대로 2차 시추는 해외 오일 메이저 기업의 투자를 유치해 석유공사와 합작 형태로 후속 유망구조에 대한 개발을 이어간다는 방침이지만, 첫 시추부터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와 국회의 예산 삭감 등으로 인해 프로젝트가 추진력을 받긴 힘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한국ANKOR유전, 화성밸브, 한국석유, 한국가스공사, 한선엔지니어링, 흥구석유, 동양철관, 넥스틸, 디케이락 등 동해 석유·가스전(대왕고래) 관련주가 하락.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주 요 테 마
강세 테마 온디바이스 AI, 유리 기판, 뉴로모픽 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대표주(생산), 스마트카(SMART CAR), PCB(FPCB 등),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밥솥,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페라이트, 건설기계,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반도체 재료/부품, 3D 낸드(NAND), HBM(고대역폭메모리), 맥신(MXene), 마이크로 LED, 무선충전기술, LED장비, 반도체 장비, 3D 프린터, 자율주행차, 화이자(PFIZER),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 대표주,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갤럭시 부품주 등...
약세 테마 피팅(관이음쇠)/밸브, 남-북-러 가스관사업, 셰일가스(Shale Gas), 인터넷 대표주, 강관업체(Steel pipe), LPG(액화석유가스),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전력설비, 일자리(취업), 윤활유, 도시가스, 원자력발전, 전선,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철강 중소형, 엠폭스(원숭이두창), LNG(액화천연가스), 제지, 토스(toss),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애플페이, 유전자 치료제/분석, 음성인식,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특징 테마 이 슈 요 약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온디바이스 AI 등 AI 탑재 삼성전자 갤럭시S25 판매 호조 소식 등에 상승
▷금일 삼성전자의 플래그십폰 신작 '갤럭시 S25 시리즈'가 국내 및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한 가운데, 기대 이상의 사전 판매 성적을 거두면서 사전 개통 기간을 5일 연장하기로 했음. 특히, 일부 판매처에서 준비됐던 사전 판매 물량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음. 갤럭시 S25 시리즈는 앞서 지난 1월24일부터 2월3일까지 진행한 국내 사전판매에서 130만대가 팔리며 역대 S시리즈 중 최다 판매 신기록을 경신한 바 있음.

▷한편, '갤럭시S25' 시리즈는 삼성전자의 두 번째 AI폰으로, 사용자를 이해하는 개인화된 AI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임. 이에 삼성전자는 '갤럭시 AI'의 대중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갤럭시S25' 시리즈를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삼성전자의 새로운 AI 경험과 제품 경쟁력을 적극 알린다는 계산임.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사장)은 "'갤럭시S25' 시리즈는 사용자의 일상 자체를 혁신할 것"이라며 "한층 더 발전한 '갤럭시 AI'를 통해 역대 가장 자연스럽고 개인화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음.

▷이에 금일 심텍, 제주반도체, 네패스, 네패스아크, 가온칩스, 아모그린텍, 코리아써키트, 덕산네오룩스 등 스마트폰/ 갤럭시 부품주/ 온디바이스 AI 등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엔비디아(+3.08%) 상승 및 오픈AI 美 16개주에 데이터센터 추가 건설 검토 소식, 최태원 회장 차세대 먹거리로 SIC 웨이퍼 사업 관심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엔비디아(+3.08%)가 3거래일 연속 상승. 이는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이 본격적으로 데이터 센터에 탑재된다는 소식 때문으로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블랙웰을 활용한 AI 데이터 센터용 서버를 대량 생산 및 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언론에 따르면, 오픈AI·오라클·소프트뱅크 3개 사가 최대 5,000억 달러를 합작 투자해 미국 AI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한 스타게이트에 삼성전자도 합류해 오픈AI에 반도체를 공급할 가능성도 있어 오픈AI의 행보에 더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오픈AI가 미국 16개 주 정부에 데이터 센터 건설 제안 요청서(RFP)를 보냈다고 전해짐. 오픈AI는 앞으로 순차적으로 데이터 센터를 건설할 주를 추가로 발표할 예정으로 최대 10곳의 데이터 센터 캠퍼스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알려짐.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이을 차세대 먹거리 발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해짐. 전기차 등에 탑재될 전력 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가 대표적으로 최 회장은 SiC 웨이퍼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애정을 쏟고 있다고 알려짐. 최 회장은 반도체 웨이퍼 생산회사인 SK실트론을 통해 2020년 3월 미국 듀폰사로부터 SiC 웨이퍼 기업인 SK실트론CSS를 인수했으며, SK실트론은 기술 우위를 확보해 시장 점유율을 점차 늘릴 방침임 또한, 한미 듀얼 생산 체계를 구축해 차세대 제품인 200㎜ SiC 웨이퍼를 올해 본격 양산해 시장 추격에 나선다는 계획임.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SiC 웨이퍼 사업은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SK실트론CSS 공장을 직접 방문하는 등 미국에서 각광 받고 있다”며 “최 회장이 해당 사업에 큰 관심을 쏟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힘.

▷ 이 같은 소식 속 DB하이텍, 어보브반도체, 퀄리타스반도체, 테크윙, 에이디테크놀로지, 네패스, 에이엘티, 아이언디바이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오는 14∼16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MSC)를 계기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의 회동이 성사될 것으로 알려짐. 두 사람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식 방안에 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또한, 러시아 의회에선 이르면 이달 중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직접 만나 평화 협상을 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되고 있음.

▷한편, 키스 켈로그 미국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미국이 뮌헨안보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종전 구상을 발표할 것이란 외신 보도에 대해서는 부인했음. 그는 평화 계획을 발표하는 것은 자신이 아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우리는 (뮌헨에서) 유럽 지도자들과 훌륭한 논의를 할 것이고, 모든 것을 미국 대통령에게 보고할 것"이라며, "그리고 거기서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음.

▷이에 금일 전진건설로봇, 현대에버다임, 대모, 혜인, 에스와이스틸텍, 대동기어 등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투자일기 > 테마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211 테마동향  (0) 2025.02.11
250210 테마동향  (0) 2025.02.10
250206 테마동향  (0) 2025.02.10
250205 테마동향  (0) 2025.02.10
250204 테마동향  (0) 2025.02.04

+ Recent posts